Vol.173
2023. May
의과대학 ‘봄 반려식물 키우기’ 행사
4월 7일(금) 오후 2시, 제78회 식목일을 기념하여 의과대학 함춘동산에서 ‘봄 반려식물 키우기’ 행사가 진행되었다. 서무행정실에서 주관한 직원 간 소통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서울특별시 농업기술센터의 지원을 받아 여러 유익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였다.
총장단 간담회
서울대학교 총장단 간담회가 4월 10일(월) 오후 5시 의과대학 행정관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 현장에는 유홍림 총장, 김성규 교육부총장, 윤영호 기획부총장 등 본부 보직자와 서울대학교병원 보직자, 의과대학 보직자 및 연건캠퍼스 교수들이 참석하였으며, 물리적으로 먼 거리에 있는 교수님들도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도록 화상연결을 병행하였다.
제9차 연건-관악 리더십 포럼
‘제9차 연건-관악 리더십 포럼(이하 연관포럼)’이 4월 20일 목요일 오후 5시 의과대학 행정관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의 연자는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과학기술과미래연구센터장인 박상욱 교수로 과학분야 및 정책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정부위원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래발전위원회, 제4차 리더십 특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래발전위원회(위원장 강대희)는 4월 26일(수) 오후 5시 서울의대 행정관 3층 대강당에서 제4차 리더십 특강을 개최하였다. 의학교육과 미래 의료분야의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내외부 전문가를 초청하여 개최하는 리더십 특강은 이번으로 4회차를 맞이하였으며, 의과대학 교직원 및 서울대병원 보직자 등 80여 명이 현장 참석하였다.
한준구 명예교수님 발전기금 전달식
4월 6일(목) 오후 2시, 의과대학 행정관 대회의실에서 한준구 명예교수의 발전기금 전달식이 진행되었다. 한준구 명예교수는 의학 발전을 위한 창의적 연구자 기금 및 장학금으로 1억 원을 쾌척하였다.
이종욱펠로우십 프로그램 보건인력교육전문가 관리자과정 수료식
4월 7일(금)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이하 KOFIH)이 지원한 ‘이종욱펠로우십 프로그램 보건인력교육전문가 관리자과정(Dr LEE Jong-wook Fellowship Program for Health Professionals Education: Manager Course)’ 수료식이 의과대학 행정관 대회의실에서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서울의대 참여 교수 등 유관단체의 참여와 격려 속에 성료했다.
이종욱-서울 프로젝트 12차년도 연수생 최종발표회
4월 20일(목) 오전 9시, 이종욱-서울 프로젝트(이하 서울 프로젝트) 12차년도 연수생 최종발표회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행정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2022년 10월에 연수를 시작한 라오스 연수생 15명이 6개월간 연수받은 내용을 10분씩 발표하였으며 발표 후 운영위원들과 지도교수들의 종합평가와 토의가 이루어졌다. 토의 내 연수 결과에 대한 활발한 의견 교류를 하면서도 열심히 준비한 연수생들에게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
이종욱-서울 프로젝트 12차년도 연수생 수료식 성료
4월 21일(금) 오전 10시, 이종욱-서울 프로젝트(이하 서울 프로젝트) 12차년도 연수생 수료식이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제일제당홀에서 개최되었다. 이날 수료식에는 김정은 의과대학장, 천주환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이하 KOFIH) 연구혁신센터장, Mr. Alounkone BOULOMMAVONG 주한라오스대사관 공사참사관, ㈜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 오진용 사장, 스미스앤드네퓨(주) 구재욱 대표, ㈜한국팜비오 남준상 사장, 서울 프로젝트 관계자 및 라오스 연수생 등 50여 명이 참석하여 이 과정을 수료한 연수생들을 함께 축하하였다.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 CUGH 학회에서 활발한 연구성과 발표 및 ‘란셋 저널 편집자상’ 수상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센터장 김웅한 교수/이하 ‘센터’)는 세계적인 국제보건 학회인 ‘국제보건대학협회 (Consortium of Universities for Global Health/이하 CUGH) 2023 연례 학회’에 참가하여 글로벌 서저리(Global surgery)를 주제로 한 다양한 연구 성과를 성황리에 발표하였다. CUGH는 빌 게이츠 재단(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BMGF)과 록펠러재단(The Rockefeller Foundation)이 공동 설립한 국제적인 명성을 가진 전 세계 국제보건 대학의 협의회로, 2023년 CUGH 연례 학회는 지난 4월 13일부터 4월 16일까지 미국 워싱턴 D.C.에서 개최되었다.
Changes i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with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initially high-density lipoprotein-high participants
본 연구진은 2009-2012년 2년 주기의 건강검진을 2회 이상 받고, 기저 HDL 콜레스테롤이 60 mg/dL 이상인 성인 남녀 77,134명을 대상으로 HDL 콜레스테롤의 추가적인 증가에 따른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분석하였다.
Implantable device with magnetically rotating disk for needle-free administrations of emergency drug
아나필락시스와 저혈당증 같은 응급상황 발생 시에는 신속하게 응급처치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인다고 보고되어 있다. 현재는 이러한 약물들을 환자들이 직접 바늘 주사기를 통해 투여해야 하는데, 응급상황에서의 호흡 곤란, 떨림, 어지럼증, 바늘 공포증 같은 다수의 요인들이 신속한 약물 투여를 방해한다.
Cerebellar nuclei neurons projecting to the lateral parabrachial nucleus modulate classical fear conditioning
이번 연구는 서울의대 생리학교실 이용석 교수 연구팀과 김상정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로, 생쥐의 외측 팔곁핵으로 투사하는 소뇌 핵 신경세포의 동정 및 전기생리학적, 조직학적, 광유전학적 방법 등을 이용한 해당 신경세포의 활성 조절과 관찰을 통해 소뇌가 어떻게 공포 학습과 같은 비운동성 기능을 위해 작동하는지 탐구한 연구이다.
Ventricular tachyarrhythmia treatment and prevention by subthreshold stimulation with stretchable epicardial multichannel electrode array
심부전은 심장의 기능이 떨어져서 전신 쇠약감, 운동시 호흡곤란, 부종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며 급사에 이를 수 있는 질환임과 동시에 모든 심장 질환의 가장 마지막 단계이기도 하다. 심부전 환자들이 사망이나 급사에 이르는 상당수의 원인은 심실빈맥이나 심실세동과 같은 악성 부정맥 때문임이 잘 알려져 있기에 임상에서는 이러한 악성 심실 부정맥을 제세동기로 치료한다.
Personalized antiviral drug sele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using a machine learning model: a multinational study
본 연구진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만성 B형간염 환자에서 일차 항바이러스제를 제시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코호트에서 검증하였다. 최근 B형간염 바이러스를 강력하게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들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약제를 복용하는 환자군에서 간경화, 간암 발생이 유의미하게 감소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한 만성 B형간염에서 일차 치료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약제인 엔테카비어와 테노포비어 중 어떤 것이 우월한 지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
Associations between modifiable risk factors and changes in glycemic status among individuals with prediabetes
당뇨전단계(prediabetes)로 진단된 성인의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당뇨전단계는 제2형 당뇨병 및 기타 질병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지만, 정상 혈당으로 되돌아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중요한 단계로 여겨진다. 따라서 당뇨병 전 단계에서 혈당 변화의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는 당뇨병 전 단계 성인에서 교정 가능한 위험 요인과 정상 혈당으로 변화 및 제2형 당뇨병으로 진행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MOON LAB (An LBCB division for Breast Cancer Microenvironment and Patient-derived Models)
저희 연구실은 외과학교실 문형곤 교수님을 중심으로 박사, 대학원생 및 학부인턴으로 이루어져 유방암의 조기 발견과 예후 및 예측 관련 바이오 마커 발굴을 위한 연구에 매진해 오면서 국내 유방암 중개 연구를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종양 미세환경 간 상호작용의 기능적 역할과 분자생물학적 기전 및 환자유래 이종이식 모델(patient-derived xenograft, PDX)에 대한 유용성과 임상적용 가능성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의사과학자 박사후 연구 지원 사업 선정자 2인을 만나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과학자 양성사업단은 의사과학자 양성에 필요한 계획을 수립하고, 의사과학자를 전주기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출범했습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과학자 박사후 연구 지원 사업은 의사과학자에 대한 전주기적 지원의 일환으로 박사학위 취득 후 5년 이내의 의사면허 소지자를 지원합니다. 2022년 11월 진보영, 진선필, 최규성 박사 3명의 선정자를 선발한 이후 많은 관심 속에 올해 5월 2명(신정환, 전영글 박사)을 추가로 선발하게 되었습니다. 박사학위를 받은 후에도 지속적으로 기초 및 중개 연구를 수행하는 일에 열의를 가진 분들이 우리 대학과 병원에 많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23년도 1학년 강의평가 방식 개선
강의평가는 각 강의 또는 교과목의 장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 대학교육의 질 향상에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강의평가 형식과 내용이 보다 정확하게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교수와 학교 측에 강의평가 결과를 전달하여 실제적인 개선을 이끌어낼 수 있어야 하기에, 보다 효율적인 강의평가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배움의 두드림: 병원학교 이야기
5월은 스승의 날이 있는 달이다. 이는 모든 의과대학 학생에게 뜻깊은 날이지만, 이날이 더욱 특별한 이들이 있다. 바로 학생인 동시에 선생님이기도 한, 어린이병원학교 봉사동아리 두드림의 자원봉사자들이다.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는 매일 수많은 아픈 아이들이 드나든다. 오늘 하루 진료를 보고 병원을 나서는 아이들도 많지만, 소아암 환아처럼 병원을 집 삼아 지내는 아이들도 있다. 이런 아이들을 위해 1999년 병원 학교가 개교하였다. 이곳에서 아이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교육을 받으며 학교로 복귀할 준비를 한다. 늘 배우는 학생으로 병원을 출입하는 의대생들이지만, 이곳에 들어설 때만큼은 선생님이 된다. 학생이자 선생님으로 스승의 날을 맞게 된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비전추진단 뉴스레터
임상교수는 서울의대의 가장 중요한 비전입니다. 서울의대의 가장 중요한 비전은 후속 세대이고, 서울의대 후속 세대의 가장 중요한 구성원은 임상교수님들이십니다. 김정은 학장님 이하 현 학장단에서는 비전추진단을 통해, 병원 임상교수와의 소통을 증진시키고 대학에서의 역할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함춘인사이드가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후원안내보기
서울의대를 아껴주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건립 캠페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세상 어디에도 없는 도서관'
후원내역보기
이달에 정성을 보내주신 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