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56
2021.November
서울대학교 의료빅데이터연구센터 개소 기념 국제심포지엄 성료
최근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산하 연구센터로 공식 출범한 서울대학교 의료빅데이터연구센터(Medical Big Data Research Center; 센터장 이규언)가 개소 기념 국제심포지엄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지난 10월 22일(금), 행정관 3층 통합강의실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600명에 가까운 온라인 누적 시청자가 참여하는 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병원은 물론 타 대학·병원 교수, 연구자, 기업인, 대학(원)생 등의 큰 관심을 모았다.
2021년도 서울의대 연구업적 우수교원 간담회
2021년도 서울의대 연구업적 우수교원 간담회가 2021년 10월 25일(월) 행정관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가치빛냄 연구상은 의학 발전에 충분한 공헌과 가치가 인정되나, 현재 Impact Factor 중심의 수상 기준으로는 수상 대상으로 선정되기 어려운 평생업적(lifetime achievement)을 보유한 교원을 발굴, 엄정한 심사를 통해 격려하고자 제정된 상이며, 올해의 수상자는 안과학교실 곽상인 교수이다.
2021년도 의과대학 신임교원 간담회
2021년도 의과대학 신임교원 간담회가 10월 12일(화) 행정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간담회에는 학장단 2021년도 신규임용 교원이 참석하여 의과대학의 교원인사제도 및 연구지원제도에 대한 설명이 진행되었다.2021. 3. 1.자 신규임용 교원(가나다순) 김홍범(내과학), 문진수(소아과학), 이동연(정형외과학), 이윤종(내과학), 조성엽(생화학)
서울의대 25회 동기회 졸업 50주년 기념 간담회
서울의대 졸업 50주년 기념 간담회가 10월 18(월), 행정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25회 동기회장 안효섭 명예교수를 비롯하여, 조세현, 김봉식, 이원택 동문이 참석하였으며, 25회 동기회의 이름으로 의과대학 1천7백여만원 동창회 1천만원을 각각 기부하였다. 또한 의과대학 졸업 이후 도미하여 활동해 온 이원택 동문은 이날 신찬수 학장에게 자신의 저서[미-한 변형 사전]를 기증하기도 했다.
2021년도 3분기 우수친절직원 시상식 개최
10월 6일(수), 대회의실에서 2021년도 3분기 우수친절직원 시상식이 개최되었다. 이날 시상식에서는 우수친절직원으로 선정된 직원 명단은 아래와 같다. (가나다순) 김영진(서무행정실), 김태연(의학교육실), 박양민(시설행정실), 양서영(서무행정실), 이연이(연구행정실), 이은주(학생행정실), 정해인(기획조정실)
제16회 「임산부의 날」 기념식, 김이경 교수 국무총리 표창 수여
제16회 임산부의 날을 맞아 10월 8일(금) 오송컨벤션센터에서 기념식이 열렸다. 이날 행사에서는 임산부와 신생아의 건강과 돌봄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에 대통령(1)·국무총리(3)·보건복지부장관(33) 유공자 표창이 개인 26명, 기관 11개소에 수여됐다. 국무총리표창에는 김이경 (소아과학교실) 교수가 이른둥이 등 ‘고위험 신생아의 추적관찰가이드라인 개발’을 통해 신생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 지원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했다
Discovery of a transdermally deliverable pentapeptide for activating AdipoR1 to promote hair growth
탈모는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고통스러운 질환이다. 이 질환은 노화, 호르몬 장애, 여러 약물의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탈모의 치료법은 바르는 약, 먹는 약, 모발 이식술 등이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모촉진제는 부작용이나 낮은 효능에 대한 우려로 사용이 제한되어 탈모증 치료를 위한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진 신약에 대한 수요가 높다. 아디포넥틴은 주로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체내 단백질의 일종이다. 이 단백질은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체내에서 비만, 당뇨병, 동맥경화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아디포넥틴 단백질이 부족한 비만 인구 집단은 남성형 탈모증이 더 중증으로 진행되어 있다.
Recombinant Mycobacterium smegmatis delivering a fusion protein of human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 and IL-7 exerts an anticancer effect by inducing an immune response against MIF in a tumor-bearing mouse model
결핵백신으로 사용하고 있는 BCG를 포함한 미코박테리아 균주는 강력한 선천 면역을 유도할 수 있고, 항원 제시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감염 후 항원에 대한 교차 제시 (cross presentation) 기전을 통해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방광암을 포함한 여러 고형암에 대한 항암면역치료법 혹은 항암 면역요법을 위한 항원전달 시스템으로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교실 만성감염연구실은 지난 10여 년 동안 약독화된 미코박테리아 균주를 항원 전달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재조합 균주 기반 면역항암요법을 연구해 왔고, 최근 논문을 통해서 다양한 암종의 발암 기전과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진 macrophage migration inhibitory factor (MIF)에 대한 면역 유도를 통해 항암 효과를 일으킬 수 있도록, 인체 MIF-IL7 융합 단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재조합 Mycobacterium smegmatis를 제조하여 마우스 모델에서 항암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조합 균주는, 면역된 마우스에서 MIF에 대한 강력한 세포 매개 및 체액성 면역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MIF 매개 발암성 세포 신호체계를 억제함으로써, 강력한 항암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개발된 재조합 균주는 면역 항암제의 일종인 PD-L1과의 상승적인 병합 효과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그림 1).
Combined Associations of Changes in Noncombustible Nicotine or Tobacco Product and Combustible Cigarette Use Habits With Subsequent Short-Term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ong South Korean Men: A Nationwide Cohort Study
일반담배(궐련)로 인한 건강악화 문제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최근에 전자담배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전자담배는 담배보다 건강에 해로운 성분이 적기 때문에 더 안전한 흡연 방법일 것이라는 인식이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전자담배로 인한 심뇌혈관질환 관련 지표 악화의 정도가 담배보다 적기 때문에, 담배 흡연자 대상으로 금연 보조제로서 전자담배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한다. 과거 연구에서는 한 시점에서 담배와 전자담배 이용에 따른 유해한 성분 노출의 차이 또는 혈압 등 심뇌혈관질환 지표를 비교 평가했다. 그러나 담배와 전자담배 이용행태 변화가 실제 심뇌혈관질환 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Application of N Descriptors Proposed by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ung Cancer in Clinical Staging
폐암의 림프절 전이 여부는 환자의 치료 방침 결정 및 예후 예측에 매우 중요하다. 폐암의 림프절 전이는 림프절 전이 여부와 전이의 위치에 따라서 전통적으로 크게 4가지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같은 그룹 안에서도 환자의 예후 및 치료 방침이 다르게 결정될 수 있어 림프절 전이의 위치뿐만 아니라 림프절 전이의 개수나 크기 등으로 좀 더 병기를 세분화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시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 세계 폐암 연구 학회에서 림프절 전이 스테이션의 개수에 따라 병기를 좀 더 세분화하여 분류하는 것을 제안하였고, 이에 몇몇 연구들이 병리 병기를 이용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Enhanced eosinophil-mediated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antibody and complement-dependent pneumonic insults in critical COVID-19
전세계적으로 범유행이 진행되고 있는 COVID-19는 SARS-CoV-2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백신 보급으로 치명률이 낮아지고 있으나, 여전히 중증의 환자들과 사망환자들이 적지않게 발생하고 있다.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중증 폐렴의 정확한 원인을 알아야 하지만, 치료 표적이 될 수 있는 분자나 세포 수준의 병인 기전이 아직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 환자들의 호흡기 시료와 폐조직을 분석하여 중증 폐렴의 진행과 연관된인자들을 조사하였다. 경증의 환자들과 비교하였을 때, 중증의 환자들에서 호산구 매개 염증 반응과 Th2 반응, 항체 및 보체 반응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사망환자들의 폐조직에서 면역복합체 및 보체의 과도한 활성이 일관되게 확인되었다 (그림). 중증환자들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체액면역반응이 COVID-19 중증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씨젠의료재단 발전기금 전달식
2021년 10월 27일(수), 행정관 대회의실에서 씨젠의료재단 발전기금 전달식이 진행되었다. 씨젠의료재단은 의학인재 양성을 위한 장학금으로 450,000,000원을 쾌척하였다.씨젠의료재단은 임상진료 및 연구를 위한 4,000여 가지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질병검사 전문의료기관으로, 서울 본원과 함께 부산경남, 대구경북, 광주호남 검사센터를 운영하며 신속하고 차별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국내 및 해외 의료취약계층을 위해 적극적인 봉사활동을 지속하는 등 사회공헌 기업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가장 많은 COVID-19 진단검사를 수행하며 국내 방역의 최일선을 담당하고 있다.
보령제약(주) 발전기금 전달식
2021년 10월 8일(금), 행정관 대회의실에서 보령제약(주) 발전기금 전달식이 진행되었다. 보령제약(주)은 의과대학의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건립 중인 ‘세상 어디에도 없는 도서관’ 기금으로 200,000,000원, 의학 발전을 위한 ‘창의적 연구자 기금’으로 100,000,000원을 쾌척하였다. 이에 총 누적 기부금액은 총 300,000,000원이다.보령제약(주)는 1957년 보령약국으로 시작하여, 1963년 보령제약(주) 창립 후 2011년 대한민국 기술대상을 수상하고 2013년 3000만불 수출탑 수상 등 지속적이고 활발한 성장을 이어왔다. 용각산, 겔포스 등의 주요 제품뿐만 아니라 국내 최초 항암제인 독소루비신 및 국내 최초 고혈압 신약인 카나브 등 다수의 혁신적인 제품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인류의 건강과 공존 공영을 위한 도전과 노력을 계속해 나가고 있다.
싸토리우스코리아 김덕상 대표 발전기금 약정식
2021년 10월 26일(화), 행정관 대회의실에서 싸토리우스코리아 김덕상 대표 발전기금 약정식이 진행되었다. 김덕상 대표는 SNU MEDICINE 모금 캠페인위원회의 양윤선 위원장의 추천으로, 의과대학의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세상 어디에도 없는 도서관’ 기금으로 100,000,000원의 개인 기부를 약정하였다.김덕상 대표는 바이오산업의 연구개발, 품질보증, 제조 생산을 위한 최첨단 장비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인 싸토리우스의 현지법인 설립을 주도하여 현 싸토리우스코리아, 싸토리우스코리아바이오텍 대표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또한 국제백신연구소 한국후원회 상임이사 및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겸임교수로서 우리나라의 바이오 산업과 공중보건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함춘인사이드가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후원안내보기
서울의대를 아껴주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건립 캠페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세상 어디에도 없는 도서관'
후원내역보기
이달에 정성을 보내주신 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