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동향]

Microstructural Changes in Higher-order Nuclei of the Thalamus in Patients with First-episode Psychosis

Biological Psychiatry, 2018


권준수 교수(정신과학교실)

조현병은 주로 청소년기 또는 이른 성인기에 높은 발병률을 보이며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정서적 둔감 등의 증상을 가지는 정신질환이다. 조현병 환자들의 병리생태에 시상이 관여되어 있다는 보고는 꾸준히 있었지만, 시상의 어떤 핵들이 연관되어 있는지는 대부분 사후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로 추정되고 있었다. 하지만 사후 분석 방법에서는 항정신성 약물의 사용, 감소된 사회활동 등 질병의 이차적인 영향 때문에 일어나는 뇌의 변화를 통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샘플을 얻기가 굉장히 어려워 비침습적인 뇌영상 방법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지만 기존의 전통적인 뇌영상 방법으로는 각 시상 핵들의 정보를 얻어내는 것에 제한이 있었다.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연구팀(제1저자: 조강익)은 물분자 이동량의 분포를 살피는 새로운 뇌영상기법을 이용하여 조현병의 병리생태를 밝히고자 하는 연구들을 진행해왔으며 최근 출판된 논문을 통해 질병의 초기 단계부터 시상의 핵들 중 특히 higher-order 핵들, 즉 피질과 높은 연결을 가지고 있는 핵들이 (등쪽안쪽핵과 베개핵) 미세구조 이상을 보인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발병시점으로부터 1년 미만인 조현병 환자군을 대상으로 새로운 뇌영상 방법인 확산첨도영상이 촬영되었고 뇌구조들의 발달을 나타낼 수 있는 평균첨도(그림1)를 계산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그림2). 이 연구결과들은 조현병의 병리생태에 시상의 핵 특이적인 미세구조변화가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새로운 생체지표로써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그림1. 물 분자의 이동량의 평균 첨도는 세포 또는 세포기관 등의 발달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림2. 시상의 등쪽안쪽핵과 베개핵의 평균확산첨도 비교


원문보기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06322318315580



Cumulative Dose Threshold for the Chemopreventive Effect of Aspirin Against Gastric Cancer

Am J Gastroenterol. 2018


박상민 교수(가정의학교실)

박상민 교수팀(1저자 김민형 연구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건강검진 코호트 461,489명을 대상으로 2007-2013년, 7년간 추적해 아스피린 누적 사용량과 위암 발병률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아스피린은 혈소판 효소(사이클로옥시제네이즈) 억제를 통해 혈소판 응고를 억제함이 밝혀짐에 따라 심혈관계 고위험군에서 항혈소판 약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아스피린이 항혈소판 기전과 암세포 자멸사 기전 등을 통해 항암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었으며, 일부 관찰 연구에서 아스피린이 대장암과 위암 등 암 발병률과 역상관관계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다양한 위암 위험인자들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였고, 아스피린 누적 사용량에 따른 위암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었다.

이번 박상민 교수팀의 연구에서는, 특히 아스피린 3년 이상 사용자에서 위암 발병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음을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제시하였다. 다양한 건강관련 교란요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아스피린 사용자에서 누적 사용량 1년당 약 7%의 발병 위험률 감소를 보고하였다. 특히, 연구진에 새롭게 시도한 약물역학 분석방법론이 기존 제한점을 가지고 있던 다른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타당성이 높은 것으로 검증되어 약물 효과 및 안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새로운 인프라 구축이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김민형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아스피린의 장기 처방군에서 위암의 발병률이 낮다는 근거를 한 단계 높이고 있지만, 아스피린은 위궤양, 위출혈의 부작용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아스피린 장기 처방 대상자를 넓혀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이득과 위해를 고려한 추가 연구들이 더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박상민 교수는“미국 FDA는 2017년부터 약물의 신규 적응증 허가 과정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구를 통해 검증된 결과를 인정하기 시작했으며, 최근 약물 안전성 모니터링 방식도 기존의 수동적인 부작용 보고 시스템을 넘어서 전국 단위의 보험청구 빅데이터를 활용한 능동적 모니터링으로 바뀌고 있다”고 강조하였다.



그림 1. 아스피린 복용 기간에 따라 낮아지는 위암 발생률


원문보기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395-018-0097-5


Association of Obesity or Weight Change With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Young Adults in South Korea

JAMA Internal Medicine. 2018


박상민 교수(가정의학교실)

비만이 다양한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증가 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체중 감량을 했을 경우 건강 이득이 있는지에 대한 근거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비만과 체중 변화가 20-30대 젊은 연령대 성인에서 어떠한 건강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가정의학과/의과학과 박상민 교수 연구팀(제1저자 의과학과 최슬기 학생)은 20-30대 성인에서 비만 및 체중 변화와 관상동맥질환 발생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2002년-2003년과 2004년-2005년 2회 건강검진을 받은 20-30대 남녀 2,611,45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비만 및 체중 증가는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을 증가 시키고, 적정 체중 및 체중 감량은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을 감소 시킨다는 결과가 나왔다. 비만이 없는 사람에 비해 고도 비만인 20-30대 젊은 성인에서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도가 남녀 각각 97% 및 64% 증가하였다. 또한, 원래 비만인 사람이 적정 체중으로 체중 감량에 성공했을 경우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도가 남자에서 23%, 여자에서 34%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20-30대 젊은 연령대 성인 남녀에서 비만과 체중 증가가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도를 높이는 것을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20-30대 젊은 연령대부터 관상동맥질환 예방을 위해 건강 체중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Cyclin-dependent kinase 1 activity coordinates the chromatin associated state of Oct4 during cell cycle in embryonic stem cells

Nucleic Acids Res. 2018


윤홍덕 교수 (생화학교실)

줄기세포는 생물의 발달과정과 세포 정체성 연구의 중요한 열쇠이자, 의학적 치료를 위한 도구로써 잠재성을 가진 재료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줄기세포의 특성이 유지되는 데 있어 전사인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세포 분열기가 되면 대부분의 전사인자는 염색질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사인자들이 시공간적으로 어떻게 조절되어 줄기세포에 작용하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윤홍덕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현상에 대해 해답을 얻기 위해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전사인자인 Oct4의 인산화, 시공간적 조절과 전사활성 재개 기전에 대해 밝힌 바 있다.

최근 논문으로 출판된 후속 연구는 세포주기 조절 인산화 효소인 Cdk1이 배아줄기세포 특성이 유지되는 데 필수적이고 (그림 1), Oct4 인산화를 조절하는 상위 조절자로서 세포주기 동안 줄기세포 유전자 발현에 관여함을 보여준다 (그림 2). 이 연구결과들은 줄기세포의 운명 결정과 세포주기 조절 사이의 긴밀한 관련성을 제안하며, 줄기세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1. 배아줄기세포의 특성 유지에 중요한 세포주기 조절 인산화 효소 Cdk1



그림 2. Oct4 인산화 조절자로써 줄기세포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Cdk1의 역할 제안 모델


원문보기 : https://academic.oup.com/nar/advance-article/doi/10.1093/nar/gky371/5036842


Global health engagement with North Korea
Rare chance to improve the health of a hard to reach population

The BMJ. 2018


신희영 교수(소아과학교실)

최근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은 보건의료 분야에 있어서의 협력에 있어서도 매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2000년, 2007년의 남북 정상회담 이후 보건의료분야에서 교류가 이어졌지만 정치적인 이유로 그 이후 교류가 중단되고 있는 상황이며 북한의 보건의료 상황은 매우 나빠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90년대 국제기구의 북한 지원시 보건의료분야의 자료에 대한 국제기구의 요구를 북한은 정치적인 차원에서 접근을 하여 제한된 자료만 제공하였지만 이러한 자료는 지원을 효과적으로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북한은 이러한 자세를 바꾸어 매우 적극적으로 보건의료 분야의 자료를 만들어서 국제기구에 필요한 분야의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보건의료 분야의 남북협력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보건 관련 정부의 차원의 대화이며 구체적인 진행을 하는 국제기구 및 민간단체와의 원활한 소통과 신뢰 구축이다. 보건의료 분야의 협조를 위해서는 정치적인 문제와는 별도로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협조를 통해서만이 가장 보건의료 혜택에서 소외되어 있는 북한 주민에 대한 국제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단순한 인도주의 지원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북한이라는 특별한 환경을 의학적 연구의 다양한 기회로 생각하고 접근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원문보기 : https://www.bmj.com/content/361/bmj.k2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