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78
2023.October
2023 예술주간; ArtSpace@SNU 행사가 9월 18일(월)부터 22일(금)까지 5일간 개최되었다. 올해로 아홉 번째를 맞는 서울대학교 예술주간 행사는 서울대 구성원이 가진 풍부한 예술적 역량을 함께 나누고 즐기자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2023학년도 서울의대 해외의학연구 장학증서 수여식이 9월 21(목) 오후 12시에 교육관 115호에서 개최되었으며 김정은 의과대학장 외 보직교수들과 수혜학생 32명이 현장에 참석하였다.
‘제12차 연건-관악 리더십 포럼(이하 연관포럼)’이 9월 21일(목) 오후 5시 의과대학 행정관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포럼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장이자 서울대학교 건설법센터장, 서울대학교학원장회 회장인 김종보 원장을 연자로 모시고 진행되었다.
9월 22일(금) 오후 4시 행정관 2층 대회의실에서 2023년 9월 1일 자 신임교원 간담회가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김홍빈 교무부학장의 사회로 한 시간가량 진행되었다. 김정은 의과대학장의 환영인사를 시작으로 의과대학 학장단과 보직교수, 신임교원들이 서로를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어 대학의 교원인사제도와 연구지원제도에 관해 설명하며 참석자 간 질의응답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행사를 마쳤다.
저명한 학술지 네이처(Nature)에서 발표하는 교육연구기관의 연구경쟁력 지표인 ‘2023 네이처 인덱스 Cancer 교육기관 순위’에서 서울대학교가 국내 TOP 1위, 세계 53위로 선정되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암연구소가 속해 있는 부문인 암 연구 분야에서 2020 네이처 인덱스 순위 이후 2023년에도 국내 TOP 1위로 선정된 것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핵심역량 목표인 ‘연구역량 강화’에 암연구소가 기여하고, 암연구소가 세계적인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센터장 김웅한)는 지난 8월 29일(화)부터 9월 3일(일)까지 필리핀 카비테주 실랑에 위치한 마리아 수녀회(Sisters of Mary) 소녀의 집/소년의 집에서 ‘2023 필리핀 학교보건 증진 프로그램’을 수행했다고 밝혔다. 프로그램에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종욱글로벌의학센터 김웅한 센터장과 연구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 고재성 교수, 강다연 전임의, 피부과 이지수 진료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양승구 전임의, 근로복지공단 태백병원 응급의학과 김영호 과장, 서울유니언이비인후과 이의석 원장, 서울이비인후과 김요완 원장, 서울오아로피부과 조성문 원장이 함께 참여하였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건강사회개발원(원장 조비룡)이 주최한 제4회 SNU Medicine Forum이 9월 6일(수) 오후 2시에 진행되었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저출산 대응전략'으로, 저출산과 고위험 임신, 인구변동과 의료시장, 저출산 대응의 재정전략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하여 논의가 이루어졌다.
‘제3차 의학연구원 R&D 정책세미나(이하, 정책세미나)’가 9월 15일(금) 오후 6시, 의과대학 행정관 대회의실에서 개최되었다. 홍성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과학기술인재정책센터장을 초청하여 ‘인재수급 패러다임 변화와 미래 연구인력 양성 전략’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강연 후 질의응답과 참석자 간의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의료혁신센터(소장 강대희 교수)의 개소 기념 심포지엄이 9월 18일(월) 행정관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원격의료학회 및 분당서울대병원 초고령사회의료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하였으며, 서울대 연구처, 서울대 의대 교육연구재단, 씨어스테크놀로지, 카카오헬스케어, 광동제약이 후원하였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의 김정은 교수팀 (김정은, 조원상, 이성호, 강현승, 김강민, 하은진 교수)은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의 전진평 교수와 함께 전장유전체상관분석으로 희귀난치질환인 성인 모야모야병에서 감수성 유전자로 기존에 알려진 RNF 213 외에 17번 염색체에서 가능성이 있는 감수성 유전자의 후보군을 찾아내었다.
청소년 우울증의 치료에는 항우울제가 널리 사용되며, 특히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 청소년의 1차 약물 치료로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를 처방한다. 다만 SSRI는 단일 제제 사용 시의 관해율이 55%, 인지 행동 요법 등의 다른 치료와 병행 시 관해율이 60% 정도로, 청소년 우울증의 치료 효능을 더욱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유전체의학연구소 김종일 교수 (제1저자 이우찬 박사, 이세윤 박사과정, 윤정기 박사),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 이주현 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진행 교수 공동연구팀이 2023년 인체 유래 폐 기도 오가노이드(Lung Airway Organoid)를 활용한 단일세포전사체 분석을 통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오가노이드의 줄기세포 분화도 연구와 질병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 HER2 positive breast cancer 환자를 대상으로 chimeric antigen receptor-macrophage therapy (CAR-M)가 미국에서 임상 1상 시험에 들어가면서 마크로파지 세포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CAR-M은 CAR-T와는 다르게 고형암에 대한 침투력이 높고 암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탐식 및 제거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뛰어난 면역항암치료제 후보로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해부학교실 연구팀과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공학과 고용송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한 연구로, Metal precipitation과 size-exclusion chromatography를 결합한 새로운 제조 공정 방식을 개발하여 대장균으로부터 엑소좀(세포밖소포체)을 대량으로 분리 및 정제하고 이를 활용하여 여러 마우스 항암 모델의 완전 관해 및 종양미세환경 내 암 항원 특이적인 stem-like T 세포의 침투 및 활성화를 검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마취에서 회복 중인 환자에서 인공 호흡기를 제어하기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외부 검증한 다기관 코호트 연구로 본교 이형철 교수, 윤현규 교수와 서울대학교병원 이현훈 교수, 박지수 교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구창훈 교수, 보라매병원 원동욱 교수 등이 참여하였다.
내과학교실 임재준 교수와 서울대병원 호흡기내과 김중엽 교수팀은 Mycobacterium avium-complex 폐질환에 대한 항생제 치료가 환자들의 장기적인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결과를 미국 감염학회 공식 저널에 출판하였다.
2023년 6월 16일, 의학과 4학년의 공식적인 실습 수업 기간이 종료되었다. 물론, 그 다음주에는 실습한 12과목에 대한 시험인 일명 연중고사가 남아있었고 2학기에는 학생인턴의 기회도 남아있지만 학생이라는 신분으로, 또 학생이라는 느낌으로 참여한 ‘실습’은 어쨌거나 마무리된 것이다.
의대 구성원들의 오랜 염원인 ‘세상 어디에도 없는 도서관’ 재건축 공사가 2020년 시작되었습니다. 앞으로 함춘인사이드에서는 의학도서관 공정 소식을 격월 단위로 전달할 예정입니다. 건축으로 야기되는 불편함이 있더라도 안전하게 완공되는 그날까지 구성원 여러분들의 양해와 응원 부탁드립니다.
복잡한 심장 기형을 타고나 걷는 것조차 어렵던 미얀마 환아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두 차례의 수술을 받고 친구들과 뛰노는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갔다. 서울대학교병원은 현지 의료환경과 경제적 문제로 인해 치료받기 어려웠던 선천적 심장 기형 환아를 2019년 11월, 2023년 8월 두 차례에 걸친 초청 수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했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병원이 한국생산성본부가 발표한 2023년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National Brand Competitiveness Index) 종합병원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이로써 서울대학교병원은 2016년부터 8년 연속 1위를 차지하는 영예를 안았다.
서울대학교병원은 9월 15일(금) 오후 1시부터 서울대학교병원 윤덕병홀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제6회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서울대학교암병원 근골격종양센터(센터장 한일규)는 9월 8일(금) 서울의대 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2023 서울 육종 심포지엄(Seoul Sarcoma Symposium 2023)’을 개최했다.
제16회 아시아태평양 부정맥 학술대회 젊은 연구자상, 제28회 서울시의사회 의학상 수상
함춘인사이드가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후원안내보기
서울의대를 아껴주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건립 캠페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세상 어디에도 없는 도서관'
후원내역보기
이달에 정성을 보내주신 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