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60
2022.March
2022학년도 의학과 3학년 White Coat Ceremony 개최
지난 2022년 2월 18일(금) 오후 3시, 의과대학 행정관 대강당에서 우리 대학 2022학년도 3학년 White Coat Ceremony가 개최되었다. 이번 White Coat Ceremony는 코로나19 정부방역수칙을 준수하여 비대면 줌(ZOOM)을 이용한 실시간 중계로 진행되었다. 학년대표 및 부대표, 각 실습팀장을 포함한 20여명의 학생들은 현장 참여하였고, 120여명의 학생들도 함께 실시간 줌으로 참여하여 학생의사 선서를 다짐하였다. 김정은 학장은 축하의 말과 함께 임상실습에 임하는 마음가짐을 전하며 3학년 학생들을 격려하였다.
2022학년도 의예과 신입생 OT 및 학부모의 날 행사 개최
2022학년도 의예과 신입생 OT 및 학부모의 날 행사가 2월 19일(토)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Zoom 플랫폼 및 행정관 3층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 김정은 학장을 비롯한 의과대학 보직자, 의예과 신입생 및 학부모 약 350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는 실시간으로 학부모 간담회 및 학부생 토크 콘서트가 진행되었으며, 법의학교실 유성호 교수의 ‘Quo vadis? : 우리는 어디로 가야 할까?’ 의 주제로 특강이 진행되었다. 이 밖에도 대학 주요 내용 소개, 의예과 교육과정, 선배와의 만남, 글로벌리더로서의 품격 갖추기 등 대학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주제로 강의가 구성되어 학생 및 학부모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교수 정년식 개최
지난 2월 24일(목) 오후 4시30분, 의과대학 행정관 대강당에서 교수정년식이 개최되었다. 정년을 맞은 교수는 이종구 교수(가정의학교실), 정영섭 교수(신경외과학교실), 박성섭 교수(검사의학교실), 윤강섭 교수(정형외과학교실), 정희순 교수(내과학교실) 총 다섯 분이며, 윤강섭, 정희순 교수는 개인사정으로 행사에 불참하였다. 정년식은 서울의대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유튜브 라이브로 동시에 진행되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하여 현장 초청 대상을 정년교수, 배우자, 의과대학장, 병원장, 보라매병원장, 교수협의회장, 정년교수 주임교수 및 의무장에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서울의대-유화진 법률 사무소 업무협력협정(MOU) 체결식 개최
지난 2월 25일(금) 의과대학 행정관에서 서울의대와 유화진 법률 사무소의 MOU체결식이 개최되었다. 유화진 변호사는 이번 MOU를 통해 양 기관은 교류를 통한 상호 정보를 제공하고, 인력의 교류, 서울의대 지원 및 양 기관 관심 분야의 공동 협력을 해 나가기로 하였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병원 인턴과정을 마친 후 제44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현재 유화진 법률사무소 대표 변호사로 활동 중이며, 법관 생활과 의사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문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76회 전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위수여식 개최
지난 2022년 2월 26일(토) 오전 10시, 의과대학교 행정관 대강당 및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76회 전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위수여식이 개최되었다.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의대 학장단과 보직교수를 제외한 전체 교수와 학부모 등 내빈 참석이 제한되었고, 두곳으로 분산하여 개최되었다. 행사는 축사, 졸업생답사, 각종 시상, 학위기수여, 의사윤리강령 낭독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 각 진행 현황은 ZOOM을 통해 실시간 중계되었다. 총 150명에게 학위가 수여되었다.
정년교수 퇴임사
가정의학교실 이종구 교수, 보라매병원 신경외과학교실 정영섭 교수, 진단검사의학교실 박성섭 교수, 보라매병원 정형외과학교실 윤강섭 교수, 보라매병원 내과학교실 정희순 교수가 2월 정년퇴임을 했습니다. 퇴임소감 인터뷰를 게재하였습니다. 개인사정으로 박성섭 교수의 인터뷰는 싣지 못했습니다.
박정규 교수, 범석상 소식
범석학술장학재단은 제25회 범석상 의학 부문 수상자에 박정규 교수(미생물학교실)를 선정했다고 2월 9일 밝혔다. 박정규 교수는 이식 장기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이종장기 이식을 연구해왔으며, 돼지의 췌도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연구를 주도해 온 성과가 높이 평가됐다.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장과 상금 2000만원이 수여됐다.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fatty liver disease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adverse pregnancy outcomes
최근, 간질환과 관련된 대사성 기능장애를 더 잘 반영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되었던 비알코올성 지방간 대신 대사성 지방간이라는 개념이 새로 대두되었다. 하지만 대사성 지방간이 실제로 대사성 질환 등 불량한 예후와 더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세계적으로 아직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사성 지방간이 있는 여성에서 임신 예후를 보았고, 그 결과 지방간이 없는 1523 명의 임산부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만 있는 43명의 임산부에 비해 대사성 지방간이 있는 178명의 임산부에서 임신 합병증의 발병 위험이 훨씬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Cytoplasmic zinc promotes IL-1β production by monocytes and macrophages through mTORC1-induced glycolysis in rheumatoid arthritis
류마티스 관절염은 만성적 염증반응을 동반하는 대표적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로, 전 세계 0.5 ~ 2%의 인구가 본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다. 관절 및 전신의 염증반응으로 인해 관절 부위에 통증 및 부종을 동반하는데, 본 질환의 발병기전에서 자가면역성 T, B 세포와 더불어 단핵구 및 대식세포의 선천면역반응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주요한 치료타깃으로 연구되고 있다.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predict hepatocellular carcinoma risk in Korean and Caucasia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만성 B형간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간암의 원인으로 전체 간암의 약 70%가 만성 B형간염에서 기인한다. 만성 B형간염에서 적절한 시점에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시작할 경우에 간암의 발생 위험을 45%–63% 가량 낮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완벽하게 간암을 예방할 수는 없기 때문에 초음파 및 혈쳥 알파태아단백 검사를 통한 정기적인 간암 감시 검사가 필수적이다.
의예과 수강지도 및 동아리 소개
지난 2월 21일과 22일 양일에 걸쳐 의예과 수강지도 및 동아리 소개 행사가 대면으로 진행되었다. 행사는 관악캠퍼스 종합교육연구동(220동) 대형강의실에서 오후 1시30분부터 5시까지 3시간30분 동안 진행되었다. 신입생들은 절반으로 나뉘어서 하루씩 참석하였는데, 21일에 70명, 22일에 64명이 참석하였다. 의예과에서는 이정표 학과장과 담당교수인 윤현배, 김은영, 박지웅, 홍윤지, 신혜경 교수가 참석하였으며, 의예과 행정실에서 정유린, 임은빈, 김민석 직원이 행사를 지원하였다. 당일 모든 참석자들의 백신 패스를 확인하였으며, 체온 측정, 손 소독, 아크릴 칸막이 설치, 음식물 섭취 금지 등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였다.
노만수 동문 발전기금 전달식
2022년 2월 21일(월) 오후 4시 30분, 의과대학 행정관 대회의실에서 노만수 동문의 발전기금 전달식이 진행되었다. 노만수 동문(32회 졸업)은 그간 의학 발전을 위한 ‘창의적 연구자 기금’과 ‘일반장학금’을 기부해왔으며, 그 중 외과학교실의 ‘노만수 연구기금’으로 100,000,000원을 쾌척하였다. 현재까지의 누적 기부금액은 112,810,000원이다.
함춘인사이드가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후원안내보기
서울의대를 아껴주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건립 캠페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세상 어디에도 없는 도서관'
후원내역보기
이달에 정성을 보내주신 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