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37
2020.April
2020년 4월 1일 "서울의대 COVID-19 과학위원회" 발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COVID-19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과학위원회를 구축하고 웹사이트를 통해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 빠르게 국내 주요 활동 사례를 공유하며 정확한 정보로 국제 보건 커뮤니티를 지원함으로써 세계 안전을 지키고자 2020년 4월 1일 "서울의대 COVID-19 과학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서울의대 온라인 수업
eTL을 통하여 모니터링 되고 있는 학생들의 참여율과 익명으로 시행한 강의평가 만족도는 양호하며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학생들이 향후에도 이러닝 학습과 전통적인 수업이 적절하게 병용되기를 원하여 다양한 피드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진행중인 이러닝 교육을 개선해 나아가고 있다. 교수자들 또한 적극적으로 이러닝 교육에 참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의과대학은 전자칠판등의 장비를 갖추고 있는 스튜디오 촬영지원, 지석영센터 CPX룸을 이용한 촬영지원장소 제공, 개인촬영을 지원하기 위한 안내자료 제작, 음향개선을 위한 소속 교수 및 부속병원으로의 장비 지원 등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알림- 엄융의 명예교수(생리학교실) 서적 출간- 현대인의 튼튼백년을 위한 건강공부
1969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모교 생리학 교실원으로 입문하였다. 1976년 생리학교실 전임강사로 시작하여 생리학 연구와 교육에 종사하고 2009년 정년 퇴임하였다.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중국 시안자오퉁-리버풀대학교(西交利物浦大學, XJTLU) 초빙교수로 있으며, 원광대학교와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객원연구원을 겸하고 있다.세계생리학회 운영위원 및 심혈관 분과 위원장, 『통합의학연구』(Integrative Medicine Research)의 편집장을 역임했으며 세계 최초의 생리학 학술지인 『플뤼거스 아르히프-유럽 생리학회지』(Pflugers Archiv-European Journal of Physiology)의 부편집장으로 일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내 몸 공부』가 있다.
신현무 기금부교수 (의학과)
안녕하세요. 2020년 3월 1일부터 홍천 시스템면역의학연구소에 기금부교수로 재직하게 된 신현무 입니다. 저는 한양대학교를 졸업한 후,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 대학의 Medical center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원의 연구조교수로 한국생활을 시작하게 되었고, 올해 3월에 의학과 부교수에 임용되었습니다.
세계대학평가 평가지표 기준에 따른 서울의대 세계 경쟁력 평가 보고
세계대학평가는 절대적인 평가지표는 아니더라도 세계대학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대학의 수준과 역량을 수치화된 지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와 중요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많은 대학들이 순위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세계적인 대학과의 수준 격차를 가늠하고 대학경쟁력 제고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평가 매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eep Learning Models for Screening Multiple Abnormal Findings in Retinal Fundus Images
저는 안과의사이고, 세부전공으로 망막을 보고 있습니다. 2015년에 막 교수로 발령을 받았을 때 우연히 관심을 가지게 된 주제가 하나 있었습니다. 저는 이미지 분류에 아주 큰 장점을 가지고 있는 이 알고리즘이 당연하게도 망막안저사진(retinal fundus photo)도 잘 분류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바로 딥러닝(Deep Learning)이었습니다. 아주 재미있어 보이는 주제였기에 처음에는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렇지만, 영상을 다운로드 받고 모으는 과정부터 필요한 소견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일까지 어느 하나 쉬운 일이 없었습니다. 영상을 모으는데 수개월 이상을 사용하였으며,
Source country-specific burden on health due to high concentrations of PM2.5
한국을 포함하여 중국이나 북한 등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지름이 2.5μm 보다 작은 입자상 물질, 즉 초미세먼지 (PM2.5) 농도가 빈번하게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자국뿐 아니라 이웃 국가로 오염이 이동하면서 2차적으로 에어로졸을 형성하여 초미세먼지 농도를 높일 수도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주변국으로부터의 PM2.5 노출로 인하여 부가적으로 한국인의 건강 부담이 어느 정도 증가되는지를 추정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상기도 폐쇄 질환 연구실 (Obstructive Upper airway Research Laboratory)
안녕하세요. 상기도 폐쇄 질환 연구실의 신현우입니다. 이렇게 지면을 통해 연구실을 소개드릴 수 있게 되어 영광입니다. 우리 연구실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 5층과 삼성 암연구소 6층 두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방문 교수 1명, 박사후연구원 2명, 대학원생 3명, 인턴학생 3명이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1. 연구 내용 소개 : “연구 주제의 선택과 집중”상기도 폐쇄 질환의 병인의 규명과 새로운 진단 및 치료 방법을 고안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표적인 상기도 폐쇄 질
함춘인사이드 학생 기자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함춘인사이드 학생기자로 새롭게 활동하게 된 본과 4학년 양하영입니다. 주변에서 농담 반, 진담 반으로 “의대는 빠른 졸업이 답이다”고 말할 때는 멀게만 느껴졌던 졸업이 어느새 마지막 관문만을 남겨놓고 있습니다. 관악에서의 2년, 학생회관 및 융합관에서의 2년, 그리고 병원에서의 1년은 세상과 나 자신에 대한 질문의 답을 찾아가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요즘은 ‘COVID-19’ 사태로 학사일정이 변경되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면서 당연하다고 여겼던 일상의 작은 행복들을
함춘인사이드가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후원안내보기
서울의대를 아껴주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건립 캠페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세상 어디에도 없는 도서관'
후원내역보기
이달에 정성을 보내주신 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