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36
2020.March
서울의대 교수정년식 개최
교수정년식이 2020년 2월 20일 의대 행정관 대강당에서 개최되었다. 왕규창 교수(신경외과학), 홍성태 교수(열대의학), 방영주 교수(내과학), 김일한 교수(방사선종양학), 정성은 교수(외과학), 최영민 교수(산부인과학)가 정년을 맞았다. 이번 정년식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와 맞물려 감염예방을 위해 리셉션을 생략하는 등 축소 진행되었으나 학내 교수 및 제자 등의 참석 하에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가운식 개최
의과대학 3학년 학생들의 가운식(White Coat Ceremony)가 2월 14일(금) 의과대학 행정관 3층 대강당에서 있었다. 신찬수 학장님을 비롯한 학교와 병원 보직자 및 여러 교실의 주임교수들이 참석하여 예비 의사로서 첫 발을 내딛는 3학년 진급학생들을 축하하고 격려하였다.
제74회 전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축하 서신
자랑스러운 서울의대 74회 졸업생 여러분 진심으로 졸업을 축하드립니다. 지난 시간 힘든 의과대학 생활 속에서 큰 성취를 이룬 여러분께 아낌없는 박수를 보냅니다.
구승엽 교수 - 세계적인 생식의과학 학술지 'Reproductive Sciences' 아시아인 최초 편집장 선임
본교 산부인과학교실 구승엽 교수가 생식의과학 분야 최고의 권위를 가진 학술지인 'Reproductive Sciences' 의 편집장 (Editor-in-Chief)에 아시아인으로는 최초로 선임되었다. Reproductive Sciences 잡지는 오랜 역사의 미국 생식의과학연구학회 (Society for Reproductive Investigation, SRI)의 공식 학술지로서 창간 이후 생식의학 기초과학과 중개의학, 임상분야 모두에서 그 권위를 인정받고 있다. SRI학회는 학회 가입을 위한 신청서 접수단계에서 정회원의 추천(sponsor)이 필요할 정도로 회원의 자격심사가 엄격하고 까다로운 학회로 알려져 있다.
이현정 조교수 (내과학교실)
안녕하세요. 소화기내과 신임교원 이현정입니다. 저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재직하였으며 2017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근무를 시작하고, 올해 3월 조교수에 임용되었습니다. 신임교원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소감이 어떠신가요? 신임교원으로 여러 선생님들과 함께 연구 및 교육을 수행하여 서울대학교병원 및 대학의 발전에 도움이 되겠다는 각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창한 조교수 (약리학교실)
안녕하세요. 저는 2020년 3월부터 약리학교실 전임조교수로 재직하게 된 이창한입니다. 저는 아주대학교에서 생명공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 김용성 교수님의 지도 하에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텍사스 주립대학교의 George Georgiou 교수님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과 연구교수로서 신약 항체 개발 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신임교원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소감이 어떠신가요? 본인이 흥미롭게 여기는 주제들을 독립적으로 마음껏 연구할 수 있다는 것은 모든 과학자들의 이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항체 신약을 연구하는 저에게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은 너무나 이상적인 시작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곳에서 제가 꿈꾸는 다양한 연구를 하루라도 빨리 시작하고 싶다는 마음이며, 이를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해 앞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조동현 조교수 (해부학교실)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의대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안과 전공의 수련을 마치고, 박사 과정, 박사후 연구원 및 연구교수를 거쳐 2020년 3월 해부학교실에 임용된 조동현입니다. 신임교원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소감이 어떠신가요? 모교에서 근무할 수 있게 되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교육과 연구에 있어 우리 대학의 전통을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어쩌다 인간은 바이러스의 먹잇감이 되었나?
작년 12월 31일 중국 보건당국은 인구 1,100만명의 거대 도시 우한에서 원인 모를 폐렴이 집단 발병하였다고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했다. 발병의 근원지로 지목된 해산물 시장이 즉각 폐쇄되었고, 새로운 종류의 코로나바이러스가 원인이라는 사실이 일주일 만에 보도되었다. 최근 두 달 사이 이 바이러스 폐렴은 수많은 사망자와 감염자를 양산시키며 전 세계로 급속히 확산 중이다. 2002년11월 중국 광둥성에서 시작돼 전 세계를 휩쓸며 10% 가까운 치사율을 기록한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그리고 2015년 중동에서 유입돼 우리나라 전체를 공황상태로 몰고 갔던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의 악몽이 기억난다.
A Novel Algorithm to Differentiate Between Multiple Primary Lung Cancers and Intrapulmonary Metastasis in Multiple Lung Cancers With Multiple Pulmonary Sites of Involvement (J Thorac Oncol. 2020)
두 개 이상의 폐암 의심병변을 가진 환자에서 이들 병변이 전이암인지 원발성 폐암들인지 감별하는 것은 치료방침 결정에 매우 중요하다. 세계폐암학회(IASLC)의 최신 폐암병기 분류법에는 다발성 폐암의 분류가 포함되었고, 최근 유전자분석법을 이용한 연구결과가 활발히 보고되고 있지만, 실제 임상의사가 치료계획 수립에 사용할 수 있는 진단 알고리즘은 없는 것이 현실이다.
The New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Prostate with Watchful Waiting Database: Opportunities and Limitations (Eur Urol. 2020)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EER) 데이터베이스는 1973년 시작되어, 미국 전인구의 약 30% 이상을 커버하는 대표적인 인구기반 암등록 사업이다. 저위험군의 전립선암은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와 같은 근본적인 치료 이외 주기적 경과 관찰만 하는 적극적관찰요법 (Active surveillance)이 새로운 표준 치료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추세이다.
Mildly Abnormal Lipid Levels, but Not High Lipid Variability,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Statin-Naive' Young Population: A Nationwide Cohort Study (Circulation Research. 2020)
높은 전체콜레스테롤(TC), 높은 저지단백콜레스테롤(LDL-C), 높은 중성지방(TG) 및 낮은 고지단백콜레스테롤(HDL-C)이 뇌경색 및 심근경색의 위험과 관련이 있다. 최근 일부 연구들에서 이러한 TC, TG, LDL-C 및 HDL-C의 변화정도(variability)가 심혈관계질환의 새로운 위험인자가 될 수 있다는 제안이 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미국진료지침에 따르면 LDL-C≥190mg/dL인 성인에서 스타틴 치료를 권고하고 있으나, 스타틴을 사용하지 않는 20~39세의 젊은 성인들에서 이러한 권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없다. 본 연구는 약 2백만명의 20~39세의 스타틴을 사용하지 않는 젊은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얻었다.
대사조절 기능신경해부학 연구실 (Functional Neuroanatomy of Metabolism Regulation)
본 연구실은 신체 대사 조절에 있어서, 뇌중추의 역할을 규명하는 연구를 한다. 음식 섭취량과 에너지 소비량은 뇌중심부의 식욕조절 중추에서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뇌피질에서 시각, 미각, 후각 등 외부 자극을 분석하고, 뇌의 보상중추는 음식의 쾌락적 보상효과를 반영하여, 식이행동과 관련하여 의사결정을 조절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중추신경계는 시상하부와 뇌간을 통하여, 말초 기관들로부터 다양한 호르몬 피드백과 자율신경계 피드백을 받아, 대사 항상성을 조절한다. 또한 중추신경계는 자율신경계를 통하여, 전신의 에너지 대사 소모량을 조절하고, 당대사, 장운동, 신경호르몬, 부신 등 전신의 대사를 조절한다. 이런 과정에서 뇌중추의 역할을 규명하여 비만,당뇨병 등 다양한 대사성 질환의 발병원인을 밝히고, 새로운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여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SNU Medical Dream of Nobel Prize and Start-up 2019’ 행사참관 및 창업경진대회 ‘미니 D-데이’ 참가기
의학 공부를 하다 보면 지금 배워야 할 것에 집중한 나머지 미래에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해서는 많은 생각을 하지 못하곤 합니다. 다행히도 학교에서는 때때로 학생들이 진로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게끔 다양한 행사를 열어주는데, 그 중 하나로 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창업경진대회 ‘미니 D-데이’가 2019년 12월 21일에 열렸습니다. 본과 2학년 학생으로서 연구 기간이 좀 여유로우면서도 저녁 시간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이것저것 찾아보던 와중, 임한별(본과 3학년)양의 권유로 함께 대회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기부 소식 : 조현병 연구 발전을 위한 후원금 시초 - 이상재단
2020년 1월 23일(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발전후원회에 익명의 기부자가 3억원을 후원했다. 그는 ‘창의적 연구자 기금-정신과학교실 조현병 연구’ 지정으로 기부했으며, 이는 조현병 연구발전에 많은 도움이 될 예정이다. 또한 지속적으로 후원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며 ‘이상재단’ 기금 모금에 많은 후원자들이 후원하길 바라며 연구진들이 조현병 연구에 힘써주기를 당부했다.
함춘인사이드가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후원안내보기
서울의대를 아껴주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건립 캠페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세상 어디에도 없는 도서관'
후원내역보기
이달에 정성을 보내주신 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