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30
2019.September
2019년 교수 정년 및 퇴임식 개최
8월 22일 목요일 오후 5시, 서울의대 행정관 대강당에서 2019년도 서울의대 교수 정년 및 퇴임식이 개최되었다. 정년 퇴임을 하는 교수는 총 8명으로 정해일 교수(소아과학교실), 박성호 교수(신경과학교실), 한성구 교수(내과학교실), 김승협 교수(영상의학교실), 김원곤 교수(흉부외과학교실), 이춘기 교수(정형외과학교실), 김인원 교수(영상�
제 73회 후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석·박사 학위수여식
2018학년도(제73회) 후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석·박사 학위수여식이 8월 30일(금) 오후 2시 행정관 대강당에서 거행되었다. 졸업생은 의학박사 55명, 이학박사 7명, 의학석사 35명, 이학석사 4명으로 총 101명이었으며, 의과대학 보직교수 및 각 교실 주임교수를 비롯하여 백롱민 분당서울대병원장, 김병관 보라매병원장 등이 참석하였다.제 73회
미국 코넬대 의과대학 (Joan and Sanford I. Weill Medical College of Cornell University) 학장단 방문 및 MOU 체결식 개최
지난 8월 27일 신찬수 학장은 미국 코넬대 의과대학(Joan and Sanford I. Weill Medical College of Cornell University) 학장단 (Prof. Augustine M. K. Choi, Dean and Prof. Mary Choi)을 접견하였다. 이번 방문을 통해 양교는 교수 및 학생교류, 연구협력 등 포괄적 교류협력을 내용으로 하는 학술교류협정과 정기적 학생교환을 주 내용으로 하는 학생교환협정에 대한 체결식
윤보현 교수 미국 산부인과 학회지 최다 피인용 논문 공로상 수상
7월 26일 윤보현 교수(산부인과학교실)가 150년 역사의 권위지인 '미국 산부인과 학회지'(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JOG)가 선정한 '최다 피인용 논문 공로상'(In recognition of highly cited scientific contributions in AJOG)을 수상했다. 미국 산부인과 학회지는 올해 1월 창간 150주년을 맞아 1920년부터 2018년까지 게재된 4만 여 개의 논문 중 인용이 가장 많이 된 100편을 선별하고 분석했다.
Identification of Latrophilin-2 as a Novel Cell-Surface Marker for the Cardiomyogenic Lineage and Its Functional Significance in Heart Development
심장은 고대부터 가장 중요한 장기로 여겨졌으며 우리 몸 구석구석으로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나 다른 장기와 달리 한번 손상을 입으면 재생이 안 되기 때문에 기존 약물과 시술로는 한계가 있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효수 교수팀(이춘수박사, 조현재교수)은 역분화 만능줄기세포로부터 심근세포를 순수 분리하여 다량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그림 1 참고). 이 연구 성과는 세계 최고의 권위지인 순환기(Circulation; IF 23.054) 최근호에 ‘주목할 만한 논문(Featured article)’으로 선정됐다.
Weight Gain After Smoking Cessation and Cardiovascular Events in Young Adults
최근 급격한 사회 변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박탈감과 소외감을 느끼고 있는 20-30대 세대의 몸-마음 건강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젊은 세대의 건강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효과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박상민 교수팀은 20-30대를 위한 타당도 검증된 국가검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국가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도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의 국내 20-30대 전수 자료를 활용하여 젊은 연령층에서 부족했던 건강증진에 대한 근거를 새롭게 창출하였다.
A bioprinted human-glioblastoma-on-a-chip for the identification of patient-specific responses to chemoradiotherapy 원발성 뇌암, 교모세포종 칩 (Glioblastoma-on-a-chip) 개발
교모세포종(glioblastoma)은 5년 이내 생존율이 2%에 불과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항암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는 방안이 시급한 난치성 원발성 뇌암이다. 교모세포종의 표준 치료법인 항암제(Temozolomide)-방사선 병행치료를 시행하였을 때, 양호한 치료 결과를 보이는 환자와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병세가 빠르게 악화되는 환자들이 다양하게 관찰된다.
Comparison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Between Instantaneous Wave-Free Ratio and Fractional Flow Reserve–Guided Strategy in Patients With or Without Type 2 Diabetes: A Secondary Analysis of a Randomized Clinical Trial.
관상동맥 협착병변의 치료 방침을 결정할 때 관상동맥 내 압력을 이용하여 심근 허혈 여부를 평가하는 fractional flow reserve (FFR) 또는 instantaneous wave-free ratio (iFR)의 사용이 적극 권장되고 있다. 두 지표는 현재 임상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FFR의 경우 microvascular function에 영향을 받는 지표이고 iFR은 resting condition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지표이다. 당뇨병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인자이고 epicardial coronary artery뿐만 아니라 미세혈관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mplications in internal jugular vs subclavian ultrasound-guided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a comparative randomized trial.
최근 수술실, 응급실 그리고 중환자실에서 이루어지는 중심정맥 (Internal Jugular Vein 또는 Subclavian Vein) 삽관술은 대부분 초음파를 이용한 영상의 도움을 받아 시행되고 있어, 해부학적 구조물을 기준으로 삼고 시행하는 기존의 삽관술에 비해 기흉, 동맥천자, 혈흉 등 합병증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초음파를 이용한 중심정맥 (Internal Jugular Vein vs Subclavian Vein) 삽관술의 합병증 발생률을 비교한 대규모 연구는 없는 실정이었다.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그리고 보라매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연구진들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 6년에 걸쳐 14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합병증 발생에 대한 comparative randomized trial을 시행하였다.
Macrophages in intestinal inflammation and resolution: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in IBD
장마크로파지 (intestinal macrophage) 는 장 고유의 기능 유지에 필요한 면역 항상성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염증과 염증의 종식 모든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한다. 염증의 종식은 염증기에 유주한 단핵구로부터 분화한 마크로파지에 의해 일어나는 능동적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형성되는 마크로파지는 항염성 및 조직재생 능력을 획득하고 염증성 대장염 (IBDs, inflammatory bowel diseases)의 완치에 기여한다.
해외 심화선택 결과 보고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은 의학과 4학년에 심화선택 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심화선택 과정은 5주의 기간 동안 학생들이 원하는 연구활동이나 졸업을 앞두고 다양한 진로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설된 과정으로 기초의학연구, 임상의학연구, 국내외 의료관련기관 인턴쉽 등 다양한 코스로 구성되어 있다. 금번 교육 동정에서는 2019년 1월 21일부터 2월 22일까지 총 5주간 진행된 심화선택 과정의 보고서 중 해외 심화선택에 참여한 송나현 학생의 보고서를 소개한다.
소아과학교실 정해일 교수
큰 과오 없이 무사히 퇴임하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병원과 학교에서 저에게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이자리를 빌려 감사드립니다. 돌이켜보면, 지난 2008년부터 10년간 보건복지부지정 희귀질환진단치료기술연구사업단과 희귀질환연구지원센터를 맡아 운영하며 우리나라의 희귀질환연구에 일조한 일이 가장 보람된 기억으로 남습니다. 특히 당시 국내에서는 불모지와 같았던 신장유전학을 평생의 연구 목표로 삼아 오랜기간 매진하며 국내 전체 희귀 유전질환의 연구수준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했던 순간들이 떠오릅니다.
신경과학교실 박성호 교수
그동안 대과없이 정년퇴임을 할 수 있게 도와주신 스승님과 선후배 교수님들께 감사드리고, 끝까지 믿어주고 건강을 지켜준 아내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지난 시절을 돌아보면, 대학교 시절부터 전임의 2년을 포함해서 연건동에서 15년, 영등포시립병원과 보라매병원에서 16년 그리고 2003년 개원과 함께 이곳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16년을 보내고 떠나게됐습니다. 실로 감개무량합니다. 무엇보다 보라매병원과 분당병원에서의 추억은 선후배 교수님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가질 수 없는, 저에게는 크나 큰 선물이었습니다. 정말 고맙습니다. 앞으로도 그때의 좋은 기억만을 가지고 살아가겠습니다.
영상의학교실 김승협 교수
서울대병원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30년 이상 근무하게 된 것을 더없는 축복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동안 주변의 많은 도움속에 일하다가 떠나게 되어 감사한 마음입니다. 지난 1987년 국내에서 처음 비뇨생식기영상을 처음 시작했는데, 개척자로서 어느 정도 이 분야가 자리잡아가는 것을 보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첫 주자로서 당시에는 비뇨생식기의학을 전공하게 된 것이 일종의‘강요된 선택’이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굉장히 재미있게 일했고 업적도 많이 남겼습니다.
정형외과교실 이춘기 교수
대학로와 이곳 연건동에서 1973년부터 지내왔습니다. 46년 6개월을 살다 이제 떠나게 됐는데, 솔직히 섭섭함보다는 시원한 기분이 듭니다. 우물안 개구리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 상을 향해 나아가는 심정입니다. 그동안 정형외과의 여러 훌륭한 선생님들, 동료들 그리고 좋은 후배들을 만나 굉장히 보람 있게 보냈습니다. 특히 병원에서 어려운 일을 당할 때마다 많은 선배 교수님들이 심적으로 응원해주시고 격려를 해주신 데 대해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비뇨의학교실 김광명 교수
그동안 소아비뇨의학과 분야의 연구 및 이분척추증의 신경인성방광, 요로감염 유발 방광 요관역류, 야뇨증 환아 등 치료에 노력하였으나, 아직 함몰음경 등 홍보가 필요한 질환들이 남아있어 아쉬움을 안고 퇴임 합니다.
예방의학교실 유근영 교수
교수로 봉직한 33년간 역학연구를 통해 암을 예방하는 일에 목표를 두었고, 2011년부터는 국내 암발생율이 감소되기 시작 하여 평생을 암예방에 헌신한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불모지였던 예방의학의 암역학분야가 이제는 학문적으로도 성숙되고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할 수준으로 성장하여 자랑스럽습니다.
같이 사면 더 행복한 공동구매
의과대학 학생이라면 공동구매를 한 번쯤 해봤을 것입니다. 학생회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물품에 대하여 공동구매를 진행합니다. 공동구매 품목은 의과대학을 상징하는 과잠과 돕바부터 시작해서 공부에 필요한 교과서, CPX/OSCE 학습서, 국시 기출 문제집과 같은 다양한 서적과 실습에 필요한 가운, 청진기, 펜 라이트, 해머, 고글, 방독면까지 다양합니다. 이번 9월호에서는 공동구매를 진행하는 본과 3학년 학번 총무와의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공동구매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들어보았습니다.
함춘인사이드가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후원안내보기
서울의대를 아껴주시는 여러분 고맙습니다.
건립 캠페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세상 어디에도 없는 도서관'
후원내역보기
이달에 정성을 보내주신 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