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동향]

전윤경, 정두현 교수(병리학교실)

1. Effects of B7-H3 expression on tumour-infiltrating immune cells and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Eur J Cancer. 2020 Jul

 


           임지민 전공의                    전윤경 교수                정두현 교수(병리학교실) 

현재 비소세포폐암의 치료에 있어서 면역항암치료가 대두되고 있다. 현재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PD-1/PD-L1 외에도 새로운 면역치료제와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B7-H3 (CD276)는 B7 군에 속하며, 최근 연구에 따르면 B7-H3는 세포독성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면역체크포인트 물질로 밝혀졌다. 하지만 B7-H3가 종양면역미세환경 및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잘 알려진 바가 없다. 서울의대 병리학교실 정두현 교수와 전윤경 교수 연구팀은 최근 출판된 논문 (제1저자 임지민 전공의)을 통해 B7-H3가 비소세포폐암의 종양세포뿐만 아니라 종양침윤 면역세포에서 어떻게 발현되며 환자의 예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밝혔다. B7-H3 발현은 종양세포와 대식세포, 단핵구, 수지상세포 및 골수유래억제세포를 포함한 면역세포에서 관찰되었으며, B7-H3는 비종양세포보다 종양세포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었다. 종양세포에서 B7-H3 발현은 종양침윤면역세포, 특히 CD8 T 세포 및 형질세포양수지상세포의 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그림 1), 수술 후 또는 PD-1 면역체크포인트억제제 치료 후 환자들의 불량한 예후와 관련이 있었다 (그림 2). 이 연구 결과, B7-H3는 향후 비소세포폐암의 치료에 중요한 타겟이 될 수 있으며 면역체크포인트억제제의 바이오마커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1. 비소세포폐암의 B7-H3 발현과 종양면역미세환경의 상관관계 

 

그림 2. 비소세포폐암에서 B7-H3 발현과 환자 예후와의 관계

논문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59804920302136

 

최정석 교수 (정신건강의학과교실)

2. Maladaptive neurovisceral interactions in patients with Internet gaming disorder: A study of heart rate variability and functional neural connectivity using the graph theory approach  

Addict Biol. 2020 Jul;25

최정석 교수 (정신과학교실)

“마음은 뇌에 있다” 라는 말이 있다. 우리의 뇌는 인체 기능 조절의 중추 역할을 하며 심장과도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마음이 뇌에 있다라는 말은 일리가 있을 것이다. 특히 뇌와 심장 기능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면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잘 견뎌내고 회복력이 좋아진다. 4차산업과 IT가 발달하면서 PC 및 모바일 기기를 통한 게임 사용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게임은 이제 현대 사회의 여가 활동이자 문화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적절히 잘 사용하면 긍정적인 역할을 하지만, 반면에 일부는 과도한 게임 집착으로 사회생활, 학업 및 일상 생활에 많은 지장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게임 중독에 빠지는 사람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독을 예방하고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팀은 게임을 전혀 하지 않는 사람 및 게임을 하지만 중독 문제가 없는 사람들과 비교하여 게임 중독 문제가 있는 사람에서의 뇌-심장 기능 상호작용 패턴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안정상태의 뇌파(resting-state EEG)를 바탕으로 한 기능적 뇌연결성(functional neural connectivity) 지표와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지표와의 상호작용 이상이 게임 중독에서 나타남을 규명하였다(그림1). 뇌연결성-심박변이도의 상호작용의 변화는 스트레스에 대한 취약성을 야기할 수 있고 이는 게임 중독의 발병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 결과는 현대 사회의 새로운 정신건강 문제가 될 수 있는 게임 중독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1. 게임중독에서의 심박변이도 이상(A)과 뇌기능 연결성 이상(B), 그리고 상호작용 패턴의 차이 분석 결과(C)

논문링크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17587/

 

TOP